"귀여워!"
"품종이 뭐예요?"
그리고
뒤따르는 질문
순종인가요?
19세기 유럽
귀족사회에서 인기를 끈
최고의 개를 뽑기 위한
'도그 쇼'
사회적 지위와 부의 상징이 된
개
점점 커지는 쇼의 규모
화려하고 다양해지는 개들
쇼에서 뽑힌 최고의 개가 만든
'새로운 표준'
그리고
새로운 표준에 맞는 개들에게
붙여지는 이름
순종(純種)
순종에게 쏟아지는 찬사
치솟는 몸값
빅토리아 여왕이
교배시킨
32,000파운드(약 53억 원)가 넘는
디어하운드
원하는 모습의 개가 태어날 땨까지
다양한 모습의 개들을
교배
당시 존재하던 개 중에서
원하는 모습을 고르고
원하는 성격을 골라서
인간이 만들어 낸
수백 가지의
'새로운 순종'
"개의 품종 발전은 한정된 유전자 총량에서
외적 다양성을 만들어내기 위한
반복적 과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 <유전자 분석으로 밝혀낸 개 가축화의 역사>
로버트 웨인 교수 外, 2010
순종을 유지하기 위한
근친교배
대물림되는
유전적 결함
"10인치 크기인 발을
6인치 신발에 욱여넣은 거나 마찬가지예요."
- 수의학자 클레어 러스브릿지
뇌보다 작은 두개골을 가지고 태어나
30% 이상이 척수 신경 손상을 앓는
카빌리에 킹 찰스 스패니얼
코가 눌려
숨도 제대로 쉬기 힘들고
머리가 너무 커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새끼를 낳기도 어렵게 된
불도그
팔다리가 제대로 자라지 않는
유전병을 앓게 된
닥스훈트
인간의 끝없는 욕망으로
개는 지구 상에서
가장 다양한 품종을 가진 동물이 되었다
그리고
가장 많이 버려지는 동물이 되었다
'chan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네의 경고 (0) | 2020.04.03 |
---|---|
일요일의 소년들 (0) | 2020.03.30 |
당신은 소월(素月)을 만난 적이 있나요? (0) | 2020.03.14 |
개성없는 아이들 (0) | 2020.03.12 |
대작가의 숨은 걸작 (0) | 202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