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hange

시험의 목적

응시자 다섯 명 중

네 명이 합격


찍을 수 있는 '보기'도 없고

외울 수 있는 모범답안도 없는 시험


프랑스 고등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치르는 시험


'바칼로레아'

프랑스의 대학입학 자격시험


복잡한 지문 없이

짧은 한 문장으로 된

철학 시험 문제


타인을 심판할 수 있는가?(2000년)

과거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1996년)

모든 사람을 존중해야 하는가(1993년)


세 개의 질문 중 하나를 골라

4시간에 걸쳐

답을 작성해야 하는 수험생들


철학 과목을 포함한

15개 과목 모두

주관식 논술


수험생들은 일주일간 시험을 치르고

20점 만점에

10점 이상이면

시험에 통과


시험에 통과하면

점수에 상관없이

원하는 국공립대학에 입학할 수 있다


10점 이상을 받은 합격자는

전체 수험생의

약 80% 이상


10점 미만 불합격자에겐

재시험의 기회를 줘

합격률을 높이는


시험의 목적은

못하는 학생을 가려내고

탈락시키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학생을 합격시켜

더 많은 교육의 기회를 주는 것


그리고

바칼로레아 철학 시험이 있는 날


"올해는 어떤 출학 문제가 나왔을까?"


수험생처럼

철학 시험 문제를 기다리는

프랑스 국민들


TV에 출연해 자신이 작성한 답안을

발표하는 정치인들


빈 강당에 모여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는

학자와 시민들


거리에서

공원에서

집 안에서

프랑스 곳곳에서

자발적으로 치르는 시험


그렇게 매년

프랑스가 함께 생각하고 답해온

발칼로레아 철학 문제들


중국의 천안문 사태가 있었던

1989년


"폭력은 어떤 상황에서도

정당화될 수 없는가?"


이민자 폭동이 사회적 문제가 되었던

2006년


"특정한 문화의 가치를

보편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가?"


그리고

정치인의 탈세와 온갖 비리로

얼룩졌던 2013년


수험생과 시민들이 답해야 했던

질문


"정치에 관심을 두지 않고도

도덕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가?"


200년 넘게

프랑스 시민을

생각에 빠뜨린 바칼로레아


1808년 이 시험을 만든 목적은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건강한 시민을 길러내는 것이었다








지식채널e

'chan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항 가는 길  (0) 2019.05.15
누가 영웅이 되는가  (0) 2019.05.14
라듐 걸스  (0) 2019.05.02
킬링필드  (0) 2019.05.01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0) 2019.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