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40)
이승만 대통령이 "노덕술 등이 공산당을 잡는 기술자며, 그들을 처단하려는 것은 공산당의 짓입니다."라고 언급 - 당시 법무부 검찰과장 선우종원의 회고 역사저널 그날
대통령 각하는 (노덕술을 잡아들인) 불법 조사관 2명과 그 지휘자를 의법처리하며 계속 감시하라 지령하시다 - 1949. 2. 12. 국무회의 역사저널 그날
"내가 특별경찰대를 해산시키라고 경찰에게 명령한 것이다." "헌법은 다만 행정부만이 경찰권을 가지는 것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 - 1949년 6월 8일 경향신문 / 이승만
반민특위 습격사건의 주동자 서울 중부서장 윤기병, 종로서장 윤명운 역사저널 그날
"임자가 한 달 안에 그 빨갱이들 전부 다 재판해서 토살하고 올라오라 그럼 계엄령을 해제하겠다." 이승만 대통령이 계엄령 하 군법 재판을 맡은 김완룡 법무관에게 ∵ 계엄령 제정 1949. 11. 24. 최초의 계엄령 선포 1949. 10. 21. 역사저널 그날
"모든 남녀 아동까지도 조사해서 불순분자는 제거하고 반역적 사상이 만연되지 못하게 하며 어떤 법령이 혹 발포되더라도 민중이 절대 복종해서 이러한 비행이 없도록 방위해야 될 것" 이승만 대통령이 1948년 11월 4일에 발표한 담화문에서(여순반란 사건 후 가담자와 부역자 색출 과정) 역사저널 그날
"진실을 추구하지 않는 것, 역사를 옹호하지 않는 것, 개인적 이익을 위해 역사를 수정하는 것의 대가가 무엇인지 교훈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미국 하버드대 로런스 배카우 총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우리 가문의 유물과 일본이 제국주의 강점기에 우리 가문과 한국에 저지른 짓을 고려하고 램지어의 발언에 직접적인 대가를 치르게 하는 차원에서 사료를 하버드대에 기증하는 것과 관련한 모든 논의를 끝낼 것이다"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1878~1938) 선생의 손자 필립 안 커디 씨. 연합뉴스
대구폭동이 친일경찰과 관련이 있다 최능진(1899~1951) 독립운동가, 경찰 일제강점기 안창호와 함께 독립운동 해방 후 평양 건국준비위원회에서 활약, 평남지부 치안국장 친일 경찰들이 득세한다는 소식을 듣고 월남 친일 경찰을 막기 위해 미군정청 경무국 수사국장 역임 대구폭동이 친일경찰과 관련 있다는 내부고발 이후 수사국장에서 한달 뒤 해임 역사저널 그날